서울 중구 명동의 돈가스집을 운영하는 김모(40)씨는 3년 전, 매장 내에서 발생한 아이들의 위험 상황으로부터 출발해 '노키즈존(No Kids Zone)'으로의 전환을 결심했습니다. 뜨거운 음식을 주로 취급하는 매장에서 아이들의 뛰어다니는 행동이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을 염려한 것이었습니다. 김씨는 "사고가 날까 봐 가슴 졸였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며 "돈을 물어줄 대신 아이 고객을 잃는 편이 낫겠다 싶었다"고 털어놨습니다.
그러나 정부와 지자체에서 펼쳐지는 아동친화 정책에 대한 업주들의 회의적인 반응은 뚜렷합니다. '서울키즈오케이존' 사업에 참여한 가게들은 578곳에 불과하며, 이들 업주들은 지원금과 인증스티커를 받아도 아동 고객을 위한 편의시설 구비에는 소홀한 모습을 보입니다. A씨는 서울 중랑구에서 키즈오케이존을 운영하며 "아동은 성인에 비해 매출 이익이 적고, 지원금도 충분하지 않아서 동참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아이들과 관련된 안전사고로 인한 배상 위험은 업주들의 큰 고민거리 중 하나입니다. 최근 5년간 음식점과 숙박업에서 발생한 어린이 안전사고는 2,943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업주들은 '과도한 배상책임 부담'을 이유로 노키즈존을 선택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 노원구의 카페 사장 이모(40)씨는 "과실이 아이와 부모에게 있다 해도 소송으로 가면 대부분 업주 책임이 조금이라도 인정된다"면서 "배상책임 보험금을 지원해주는 획기적인 정책이 나오지 않는 한 '예스키즈존'을 내걸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아동친화적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현금성 유인책이 실패로 돌아선 가운데, 업주들은 정부에게 아동에게도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정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광주에서 숙박업을 하는 최모(63)씨는 "물품만 찔끔 주는 게 아니라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아동에게 안전한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인 정재훈 교수는 "지자체는 아동에게도 유익한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며 "안전사고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리모델링 모범사례를 만들거나 인식 개선에 예산을 투입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조언했습니다. 아동친화적인 정책이 더 나아가 아동 안전까지 고려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업주와 정부 간의 소통과 협력이 더욱 중요해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