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으로 발병하는 질병이다. 특히 환경적인 요인에서 먹는 음식의 종류가 위암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6년 미국암연구소(AICR)와 세계암연구기금(WCRF)는 유전을 제외한 위암 발병 3대 요인이 과음, 비만, 가공육 과다섭취라고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소금에 절인 고기/채소 및 기타 소금을 많이 포함한 음식이 좋지 않다. 훈제 고기, 녹말이 많은 음식, 조리한 곡물, 햄, 베이컨, 동물성 지방, 매운 음식과 같이 자극적인 음식과 탄음식 등도 위암 발생률을 높이는 음식이다. 가능하면 싱겁게 먹고, 훈제, 햄, 베이컨 등의 가공육류는 삼가는 것이 좋다. 훈제음식같은 경우는 '질산염' 또는 아질산염이 포함되기 때문에 위암에 위험하다고 하는데, 훈제, 건조, 절인 음식에 질산염/아질산염이 많다고 한다. 반대로 예방에 좋은 음식은 과일(귤, 레몬, 오렌지), 가지, 상추, 미나리, 우유 등이 있다. 비타민 C가 질산염 반응을 억제시켜서 위암 발생률을 떨어트린다.
술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위험인자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지만, 논란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지역과 술의 종류에 따라 상반된 연구결과를 보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인데, 예를 들면 보드카는 위험을 증가시키고 와인은 감소시키는 것 같은 연구결과가 있었다. 그러나 잦은 음주는 다른 위험인자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아 위암에 안좋다는 것이 중론이며, 실제 국내 연구들은 대체로 음주량이 많을수록 위암 발생 위험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온다.
또한 중요한 위험인자 중에 하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정식으로 등록된 발암물질로, 헬리코박터균 감염에 의해 위점막의 위축이 일어나고 상피의 종류가 바뀌면서 위암이 발생한다. 헬리코박터에 감염된 사람이 위암에 걸릴 위험도는 정상인의 2-3배라고 하며, 감염기간이 길수록 위암 발생 위험도는 증가한다. 혹시 위내시경상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었다는 소견이 나오면 항생제 복용으로 제균치료를 할 수 있다. 모 야쿠르트를 먹는건 소용 없다. 참고로 헬리코박터균이 전파되는 경로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찌개 등 음식을 상자리에서 공유하는 것이 헬리코박터 전파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나 확실치는 않다.
흡연 또한 위험도를 증가시킨다고 한다. 정상인의 2-3배 정도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고... 담배는 대부분의 암 발생률을 증가시키니 암에 걸리기 싫으면 아무튼간에 담배는 무조건 끊는 것이 좋다.
나이가 많을수록, 여자보다는 남자가, 다른 혈액형들보다도 A형 혈액형을 가진 사람이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가족 중에 위암이 있는 사람이 있다면 또한 위암 발생률이 증가한다. 다만, 위암은 유전적인 요인이 다른 암에 비해서는 낮은 편. 뜨거운 음식이 위암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