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200, 골드만의 예측: 상승 모멘텀 지속 전망
서론: 한국 증시의 주요 지수인 코스피200이 극단적으로 저평가된 상태로 현재 상승 중인 가운데, 글로벌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가 상승 모멘텀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자.
코스피200 상승세와 외국인 매수
상승률 1위 기록
최근 2일 동안 코스피200은 2.87% 상승하여 주요국 증시 중에서 2월 상승률 1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지난달 초 삼성그룹 블록 딜을 제외하고는 역대 18위의 상승폭을 기록한 것이며, 현재 상황에서는 사상 최고치에 해당한다.
외국인 매수 성향
한국 증시의 낙폭이 큰 중국 경기 부양책에 대한 실망과 기업 어닝 쇼크로 인해 주요국 증시 중에서 하락세를 보인 지난달과는 달리, 현재는 금융당국의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를 전후로 저평가된 한국 주식에 외국인들의 매수세가 집중되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날 개인투자자들의 순매도 금액은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글로벌 인프라프로그램과 한국 주식의 기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한국 주식이 지속적으로 저평가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있었지만, 외국인들은 한국 정부가 지난해 도쿄거래소에서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미만 기업에 대한 주가 개선 방안을 요구한 것과 관련하여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도쿄거래소에서 발표된 인프라프로그램으로 인해 닛케이지수가 1년간 29% 상승한 사례를 바탕으로 한 평가이다.
글로벌 투자은행의 평가
골드만삭스와 CLSA는 각각 발간한 보고서에서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증시의 추가적인 상승을 이끌 중요한 촉매제라고 평가했다. 특히 CLSA는 극단적 저평가 상태인 한국 주식 종목들과 관련한 정부의 노력이 주가 상승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주가 흐름과 개별 종목의 저평가 여부
코스피200의 여전한 저평가
현재 주가가 반등하고 있지만, 코스피 시가총액 200위 기업 중 99곳이 PBR이 1배 미만인 상태로 여전히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존재한다. 특히 이마트, 태광산업, 영풍 등의 기업은 PBR이 0.19배로 기업가치가 낮아 시총의 5배 이상의 돈을 벌 수 있는 상태로 저평가되어 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
이들 기업이 글로벌 투자자들에 의해 주가가 상승될 경우, 이번 달 중에 발표될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한국 증시의 체질을 바꿀 기회로 여겨진다. 또한 코스피200 인덱스를 추종하는 외국인들에게 PBR이 평균 0.92배 수준인 코스피200의 저평가가 해소된다면 지속적인 순매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망과 투자 전략
삼성전자 의존 감소 기대
한국 증시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커서 외국인 자금 변동성에 영향을 받았던 지적이 있었으나, 이제 PBR 1배 미만 업종들이 평가를 받게 되면서 삼성전자 의존도가 줄어들 수 있다.
안정된 투자 옵션
저평가 고배당주들의 상승세가 계속된다면 주가연계증권(ELS)보다는 배당주 위주의 안정된 투자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주인 현대차와 주요 은행주는 배당수익률이 6~8%로 중위험 상품인 ELS의 예상 수익률과 유사하며, 주가 상승이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한국 증시의 변화 기대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한국 주식이 주주환원 정책에 따라 평가를 받으면 위험한 곳에 투자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며, 한국 증시의 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나타내고 있다.
PBR과 PER: 주가 평가의 중요한 지표
- PBR(Price to Book value Ratio):
회사의 보유 자산에 비해 시가총액이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로, 낮은 PBR은 저평가를 의미한다. 주가가 현재 자산에 비해 얼마나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지표이다.
-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을 나타내는 지표로, 낮은 PER은 기업의 수익 대비 저평가 상태를 나타낸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지표들을 통해 적정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