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국 기자단 폭행사건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국 한국 기자단 폭행사건

한국 기자단 폭행사건

2017년 12월 14일 중국을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을 취재하기 위해 따라다니던 청와대 기자단 소속 기자 2명을 중국 사설업체 경호요원들이 집단폭행한 사건이다.



12월 14일(현지시각) 방중 이틀째인 문재인 대통령은 오전 11시경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무역 파트너쉽 개막식에 참석했다. 이 행사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주최하였다. 그 시각 한국 측 한국일보, 매일경제 소속 사진 기자들 역시 문 대통령을 취재하고 있었다.

그 뒤 문 대통령이 연설과 타징 행사를 마친 뒤 식장에서 빠져나가자 한국 측 기자들 역시 문 대통령을 따라 빠져나가던 중 갑자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고용하고 중국 공안의 지휘를 받은 중국 사설 경호원들이 이들을 막아섰는데, 한국일보 소속 기자가 항의하자 중국 측 경호원들은 이 기자의 멱살을 잡고서 뒤로 강하게 넘어뜨렸고 이로인해 이 기자는 충격으로 한동안 일어서지 못했다. 함께 있던 연합뉴스소속 기자가 항의하면서 이 장면을 사진으로 찍으려고 하자 중국 사설 경호원들은 이 기자의 사진기를 빼앗고는 던져버리려는 행동까지 취하였다고 전해진다.


문 대통령이 국내기업 부스로 이동하던 중 이를 취재하던 또다른 한국 기자들의 출입을 다시 중국 사설 경호원들이 막아섰고, 한국 측 기자들이 정당하게 출입비표를 제시했음에도 이들이 계속 막아서자 매일경제 기자와 중국 측 경호원 사이에 살벌한 실랑이가 벌어졌다. 그러자 주변에 있던 중국 사설 경호원 10여명이 갑자기 몰려들어서 매일경제 기자를 복도로 끌고나간 뒤 마구잡이로 폭행했고, 매일경제 기자는 중상을 입었다. 이 과정에서 말리던 다른 취재기자들 역시 중국 사설 경호원들이 완력을 사용해서 제압했고, 심지어는 같이 말리던 청와대 직원한테까지 뒷덜미를 잡고서 제지하였다고 한다.

당시 동영상
SBS 공개 영상.



음성 변조가 되지 않은 영상 (욕설 주의).

한국 반응은 여당, 야당 모두가 폭행사건에 대해 비판하고 중국측에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할 것을 요구했다.

청와대는 이번 사건에 대해 외교라인을 통해 즉각 항의했으며, 외교부를 통해 중국 공안에 정식으로 수사의뢰했다. 그리고 폭행 현장에서 채증한 동영상과 사진을 공안에 증거물로 제출하였다.

외교부는 외교라인을 통해 즉각 항의했으며, 책임자들의 강한 처벌을 요구하였다.


더불어민주당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충격적인 일로 피해를 입은 언론인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라고 밝혔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으로 양국의 신뢰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중요한 시기에 이런 일이 발생한 데 대해 유감을 표한다'며 유감 입장을 밝히면서, '집단폭행 사건에 대해 신속하게 진상을 파악해 응분의 조치를 취해줄 것'을 중국 당국에 촉구하였다.



자유한국당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번 사건에 대해 '국빈방문 중인 국가원수와 함께 한 수행기자단을 집단폭행하는 것은 결국 대한민국에 대한 테러'라면서 문 대통령이 방중일정을 즉각 중단하고 중국에서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대통령이 공항에 도착하는 순간부터 차관보가 영접하고 총리 오찬은 취소당하며 급기야 수행 기자단이 폭행당하는 굴욕은 연내에 급하게 중국과의 정상회담을 밀어붙인 결과'라며 '외교참사이자 굴욕외교의 극치'라고 하였다. 또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영훈 경호처장, 윤영찬 국민소통 수석 등 책임자들을 즉각 문책할 것'을 촉구했다. 그리고 문 대통령에게 '중국 측의 공식 사과뿐만 아니라 재발방지 약속을 받아낼 것'을 주문하였다. 

국민의당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번 사건을 '외교 관례상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언론 자유의 침해를 넘어서는 것은 물론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우리 방중단을 무시하는 행위로 볼 수밖에 없다'며 비판했다. 덧붙여 '이 같은 폭행이 최근 제기된 '홀대론'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졌다면 이는 좌시할 수 없음을 밝혀둔다'고 엄포하였다. 중국 정부에게는 진상규명과 사과, 재발방지 약속을 촉구했으며, '문재인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에 대해 정식으로 유감을 표명할 것'을 촉구했다.

바른정당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믿을 수가 없다. 말문이 막힌다"며 '중국 한복판에서 대통령은 찬밥 신세를 당하고, 언론은 샌드백 취급을 당했다. 국빈인 대통령은 혼밥족이 되고 기자들은 중국 경호원들의 주먹과 발길질에 무참히 당했다.', '외교적 결례를 넘어서 의도적인 모욕이다.'며 중국 측을 비판하였고, '문재인 대통령은 어쩌다가 중국에 이런 존재가 되었나? 국민들 가슴 속에 피멍이 맺힌다'고 하였다. 그리고 '돌아오는 대로 대통령은 오늘의 치욕에 대해 국민 앞에 보고해야 한다. 정부도 그에 상응하는 실효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마지막으로 '외국으로부터 자국민을 보호할 수 없다면 국민의 대표가 될 자격이 없다는 것을 대통령은 명심하기 바란다'고 경고했다.

정의당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번 사건을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한 나라의 대통령이 국빈으로 방문한 현장에서 동행하는 기자들을 폭행한다는 것은 단순히 불미스러운 해프닝이 아니라, 국가 간의 관계에도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양국 모두가 무겁게 받아들여야 할 사안이다'라고 하였으며, 청와대에 동행한 기자들의 신변을 우선적으로 보호하고 다친 기자의 치료를 적극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중국 정부는 철저한 진상조사와 그에 걸맞은 후속조치를 취해야 한다.', '아울러 청와대는 기자들의 사전 요청에도 불구하고, 경호 과정에서 미비했던 점이 있었는지 책임 소재를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이다'고 중국과 청와대 양측에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다.



중국측 입장

중국 외교부의 루캉(陸慷) 대변인은 12월 14일(현지시각)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사건에 관련된 질문에 중국 외교부가 이번 사건에 매우 관심을 갖고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 중이라고 답했다. 루캉 대변인은 '누군가 다친 것이 확실하다면 우리는 이번 사건에 대해 주시할 것이다'라고 언급했으며, '사건이 발생한 행사는 한국 측이 자체적으로 진행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그러나 어찌 됐든 중국에서 발생한 사건이기 때문에 매우 관심을 두고 있고 한국측을 통해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환구시보는 한국 기자들이 취재 규정을 어겨서 이런 일이 생겼다고 기사를 쓰기도 했다. 또한 가해자는 중국 공안이라는 어떤 증거도 없다고 주장했다. 폭행에 대해 자신들은 책임이 없다는 논지이며, 관영 매체인 인민 일보의 자매지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중국 측의 의견으로 볼 여지가 있을 수 있다.

“중국 공안이 밤 9시가 넘어서 새벽까지 조사를 진행한 것은 이례적 상황”이라고 밝혔다.

중 외교부에서 사건 경위 상관 없이 부상 韓 기자에 위로"하고 사건 경위 파악에 다할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