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럽의 종합편성채널을 알아보자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 본디 지상파처럼 보도·시사, 교양·문화, 연예·오락(요즈음 대한민국에서 '예능'이라고들 하지만 이는 오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등을 모두 편성하는 비지상파(케이블, 위성, IPTV) 채널을 말합니다. 대만에서는 정부를 비판하는 세력과, 원주민이 합세해 투자를 하면서 친정부 성향인 지상파 위주의 방송 시장을 재편했으나, 이 종편이 우후죽순으로 많이 생겨나면서 방송 시장이 침체되고 있죠. 

대한민국은 이명박 정부 때 종편 4채널을 허가해 방송중입니다. 어떤 두 채널은 왜곡 보도로 신뢰가 떨어지는가 하면, 다른 하나는 여러 가지 노력으로 화제성과 시청률로 지상파를 넘보기도 하지요. 그런데 종편은 대한민국과 대만에만 있을까요? 유럽에도 '종편'이라 불려야 했던 채널들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 일부가 지상파 방송이 되었습니다. 

유럽의 종편을 나열해 보면(보도방송을 했거나 하고 있는 채널만 표시, 굵은 글씨는 나중에 지상파 방송에 진출한 채널)

스웨덴 : TV3, TV4, Kanal 5
덴마크 : TV3, dk4, Kanal 4(2007년 지상파 주파수를 6'eren에 이양), 6'eren
노르웨이 : TV3, TVNorge
네덜란드 : RTL4, RTL5, SBS6
벨기에 : VTM, Q2(구 Ka2, Kanaal 2, 2BE), VIER(구 VT4), RTL-TVi
헝가리 : Duna TV(국영), TV3(2000년 폐업), ATV
슬로바키아 : TV Markiza(2017년 1/4분기 때 지상파 송출을 잠시 중단했었던 이력이 있음)

스웨덴의 경우 TV3(1987), TV4(1990), Kanal 5(1989)가 있습니다. TV4는 1992년에 지상파 방송 면허를 얻어 지상파 방송을 시작했고, TV3와 Kanal 5는 1999년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시작하면서 지상파 방송이 됐습니다. TV3와 Kanal 5는 2008년에 유료화됐습니다.
 

덴마크의 TVDanmark(→Kanal 4→6'eren)가, 노르웨이의 TVNorge가 대한민국의 SBS처럼 지역 네트워크를 꾸리고 보도 방송을 했었습니다. 이 두 방송국은 2009년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을 종료하면서 지역 방송국과 네트워크 협정을 종료, 보도 방송도 종료했습니다.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의 TV3는 보도 방송도 했었으나, 분량을 줄이고, 뉴스 프로그램을 스웨덴 한정으로 바뀌었다가, 2005년경에 보도 방송을 폐지했습니다.
 
네덜란드의 RTL4와 RTL5는 각각 1989년, 1993년 개국 당시부터 보도 방송을 해왔습니다. RTL4는 지금도 보도 방송을 하고 있으며, RTL5는 2005년 채널 개편으로 RTL Z를 RTL 7에 넘기며 종료했습니다. 이후 RTL Z는 2016년까지 RTL7에서 방송하다가 지금은 독립된 채널로 방송 중입니다. SBS6도 개국 때인 1995년부터 보도 방송을 해 오고 있습니다.
 
벨기에의 경우 보도 방송을 하는 VTM과 RTL-TVi를 종편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만, 2BE나 VIER는 과거에 보도 방송을 했을 때에는 종편으로 분류됐었습니다. 2017년 벨기에 북부 지방에 한해 유료 위성 플랫폼 TV Vlaanderen이 지상파 상품을 출시해 이들 방송을 송출하고 있기도 합니다.
 
헝가리에는 국영 Duna TV와 민영 ATV가 있습니다. 두 곳 모두 2008년에 지상파 방송이 되었고, Duna TV는 무료, ATV는 유료로 송출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ATV는 뉴스 위주로 편성돼 있어 가끔 뉴스 채널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유럽의 종편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종편이 대한민국과 대만에만 있지 않다는 것을 이제는 알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