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나 매우 흔하게 보이는 다년생초로서 바닥에 딱 붙어서 꽃봉오리 하나가 쏙 올라온다. 톱니 모양의 잎새와 눈에 확 띄는 노란 꽃이 인상적이다. 특히 꽃이 지고나면 솜털모양의 깃을 가진 씨앗들이 나오는데 바람을 타고 날아가서 널리 퍼진다.
서양민들레와 붉은씨서양민들레는 이름만 봐도 외래종이다. 유럽 원산의 서양민들레들은 20세기 초에 건너오더니만 이미 완전히 토착화되었다. 때문에 대표적인 토착화한 외래종 즉 '귀화생물'의 예로 손꼽힌다. 서양민들레와 '토종' 민들레의 중간 외형을 가진 민들레들도 종종 발견할 수 있는데, 순혈주의 관점에선 어떨지 모르나 자연적 관점에선 당연히 좋은 일이다. 토종 민들레는 충매화로 적절한 매개체가 없으면 씨를 맺기 어려운 데다 환경오염에도 취약한 반면, 서양민들레의 번식력은 매우 왕성하고 오염에도 강하기 때문. 도시화가 이루어진 지역의 길가에 핀 민들레는 대부분이 귀화식물 민들레다. 조금만 교외로 나가도 토종 민들레를 찾아볼 수가 있다.
흔히 민들레는 꽃이 노랗지만 흰민들레는 이름 그대로 꽃이 하얗다. 완전히 하얀 건 아니고 조금은 노리끼리하다. 꽃이 하얀 민들레만 토종 민들레라고 아는 사람이 많으나 이것은 흰민들레 이야기다. 흰민들레가 토종인 것은 사실이나 모든 토종민들레가 흰 것은 아니다. 또 다른 토종 민들레도 외래종 민들레처럼 꽃이 노랗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정확히 구분하려면 꽃받침을 확인하면 된다. 꽃받침이 바나나 껍질깐듯 뒤로 젖혀져 있으면 서양민들레이고, 꽃을 감싸는 것은 토종 민들레.
유럽에서 건너온 외래종인 서양민들레와 붉은씨서양민들레간 외관상 차이점은 크지 않아 구분하기 어렵다. 가장 큰 차이점은 이름에서 나타나듯 씨앗이다. 서양민들레는 종자 색깔이 옅은 녹색인 반면 붉은씨서양민들레는 종자 색깔이 붉다.
북미에서도 봄-여름 기간에 많이 피는데, 이 동네는 한국의 도심과 달리 어지간한 곳은 전부 잔디밭이라 밖에 나오기만 해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식물이다.
민들레도 향기가 있는 꽃이다. 물론 향기가 좋다고 하기는 힘들다. 취향을 좀 타는 향인데, 좋게 말하면 구수하고 안 좋게 말하면 꼬릿꼬릿하다. 웬만한 들꽃에서 나는 향기가 다 이런 계통인데 장미나 백합같은 향을 기대하며 맡았다간 표정 찡그려지는 수가 있다.
그리고 유독 교잡종이 많이 보이는 꽃인데 분명 꽃과 씨는 민들레인데, 잎은 민들레 같이 안 생기고, 길가에 종종 나는 잎만 보이는 잡초같이 생긴 해괴한 종이나, 위에 적힌대로 무릎까지 올라오는 거대 민들레, 한 꽃대에 여러 민들레 꽃이 달리는 히드라 민들레 등 온갖 희한한 변종들이 발견된다. 심지어는 쇠채아재비마냥 사람 주먹만한 씨앗뭉치가 달리거나 거대한 꽃이 달리는 변종도 발견되었다. 이런 특이한 종류는 민들레의 압도적인 물량에 비해 적어서 상대적으로 안 보일 뿐이지, 잘 찾아보면 사방에 널렸다.
주로 아파트에 살며 마당 볼 일이 없는 한국에서는, 강아지똥 등의 매체의 영향이나 어디서나 씩씩하게 핀다는 둥의 이미지 메이킹, 어릴 때 불고 놀던 신기한 씨앗 덕분인지 일반 사람들에겐 어째 상당히 인식이 좋은 꽃이다.
허나, 마당관리 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선 민트와 더불어 치가 떨리게 만드는 풀떼기인데 말 그대로 땅에서 솟는 악마 그 자체. 즉, 잡초왕. 자체 생존력과 번식력도 어마어마할뿐더러, 몸체가 땅속 깊이 박혀있어 제초제가 더욱 듣지 않기 때문에 전용 제초제가 따로 있을 정도이다. 하지만 그 극악한 독성 때문에, 주에 따라서는 법령이 달라서 이게 금지된 경우도 있다. 혹은, 이걸 써도 대책이 없어서 그냥 잔디밭 일부를 뜯어버리고 다시 심는 경우도 있다. 밭의 토양이 좀 좋다 싶으면 우리가 자주 보는 열악한 환경에서 자란 민들레 따위랑 비교가 되지 않는 거대 민들레들도 발견된다. 제주도만 해도 시골이 아니 곳에도 화단 같은 곳에 자주 줄기 길이만 10cm가 넘어가는 민들레도 보인다. 더군다나 워낙 강력한 잡초라서 지 혼자 자라고 있어 주변 환경과 어울리지 않아 더 극혐인데, 덕분에 관리가 잘 안 되는 길거리 잔디밭의 경우, 이 민들레가 씨를 뿌리는 기간이 되면 징그러울 정도이다.
대신 관리를 잘 해놓은 벌판에서 자라는 민들레밭이나 인공적으로 조성된 민들레 공원은 개화기가 되면 샛노란 융단을 깔아놓은 것처럼 화사해서 보기에 나쁘지 않다. 단지 민들레가 잔뜩 자라날 만한 어지간한 벌판에는 민들레 말고도 망초, 개망초, 강아지풀, 가는개밀 등 어지간한 잡초들도 왕성하게 자라나서 웬만해서는 그냥 관리 안 된 땅으로 보일 뿐. 그래도 만드는건 크게 어렵지 않다. 약만 잘 뿌려주면 보기좋은 민들레밭이 되는데, 다른 잡초들은 제초제에 다 죽고 민들레만 멀쩡히 살아남기 때문이다. 하여튼 참 무서운 식물이다.
겨울에는 로제트 상태로 월동하다 봄에 꽃을 피우며, 그냥 밟히는 정도로는 절대 죽지 않는 강인한 생명력이 특징이다. 뿌리를 동강내더라도 그 각각의 뿌리에서 싹이 트는 플라나리아스러운 모습도 볼 수 있다. 식물 세포 자체가 다형성능(totipotency)을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민들레는 정말 유난히 강력한 경우로, 특히 군에서 제초할 때 더더욱 뼈저리게 느낄 수 있다. 심지어 보도블럭이나 아파트 난간의 한줌 먼지 사이에도 자리를 잡고 피어난다. 이런 강인한 생명력으로 인해 민초의 상징과 같은 식물로 취급받고 있다.
잔디밭을 관리할 때에는 되도록이면 손으로 뿌리 끝까지 뽑아주는 게 좋다. 잔디깎이 가지고 꽃 부분만 날려버려도 본체가 땅속 깊이 박혀있기 때문에 다음 주에 엿 먹어라! 하듯 또 꽃대를 올리는 게 보통이기 때문. 게다가 이 기간에는 씨앗도 많이 날아다니므로 없던 곳에도 또 난다. 근데 그렇다고 손으로 뽑기도 어지간히 쉽지 않은 게 뿌리가 하도 깊어서 대충 뽑다가 뿌리 끝이 끊어지면 그 끝에서 또 민들레가 자라나서 또 뽑아야 한다. 뽑아내다 보면 땅밑을 거진 인삼 크기만큼 차지하고 있는 놈들도 보일 정도이다. 어떻게 보면 관점을 바꿔 방제를 포기하면 편한데, 아예 민들레밭을 만들어 두면 매년 봄 화초를 심을 필요가 없이 봄철 샛노란 꽃밭을 감상할 수도 있다. 꽃이 진 뒤 날리는 씨가 고민되겠지만.
이러한 사실을 두고도 민들레의 꽃말은 행복과 감사다.
민들레 뿌리는 한약재로 쓰이는데, 이때는 포공영(蒲公英)이라고 하며 소화제, 해열제로 쓰인다. 그냥 무쳐서 나물로 해먹기도 한다. 쓴 맛이 나긴 하지만 고기랑 같이 먹으면 나쁘지 않다. 오래전부터 민들레차로 끓여 마셨으며 유럽에서는 이 뿌리를 볶아 가루로 만들어 커피 대용품으로 사용하기도 했으며 비슷한 것으로 치커리차가 있다. 이렇게 지천에 널린 민들레 잎도 인간이 원시시대부터 자주 식용하던 것 중 하나며, 차로 만들어 마실 수도 있다. 하지만 매연과 중금속 범벅일까 걱장되어 민들레를 먹기 싫다면 도로변이나 길거리, 공장 주변 등에선 뜯지 말자. 요즘은 민들레 뿐 아니라 이런 걸 산업화해 밭에서 민들레만 재배해 팔기도 하니까 좋아한다면 그쪽도 알아보자. 생명력이 질긴 야생초라 재배하기는 쉬운 모양이지만 수요가 적기 때문에 시금치처럼 많이 소비되는 채소보다는 비싸다.
민들레, 즉 포공영은 전초를 말려서 약재로 쓰며 술을 담기도 한다. 꽃이 피거나 홀씨가 날릴 때쯤엔 약효가 떨어져 쓰이지 않는다. 항암효과 등은 만병통치약 모드이므로 기대하진 말자. 항암효과는 알려진대로라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식물이 항암효과를 지니고 있게된다. 위장병, 간기능 개선 등이 예로부터 효험이 있어왔고 줄기를 끊으면 하얀 점액이 나오기에 곪은 상처, 종기 등에 쓰였다. 자르면 흰 즙이 나오는 상추와 쌈채소와 마찬가지로 민들레, 엉겅퀴 등도 무리해서 먹을 것까진 없지만 식용할 수 있는 부분은 불면증과 소화기를 편하게 하는 데 약간 효과가 있다.
토종 민들레는 양성화지만 반드시 타화수분을 받아야 씨앗을 맺으며, 서양민들레는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양성화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자가수분을 해버리기 때문에 번식력 차이가 크다. 유전자풀도 광범위하여 환경오염에도 강력한 면역력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점차 서양민들레가 우점종을 차지하여 지금은 토종 민들레를 보기가 어렵다. 게다가 한국의 보신문화 때문에 토종 민들레를 약이 된다는 이유로 남획하는 것도 토종 민들레의 씨가 마르는 원인이 되고 있다.
서양 민들레는 자가수분도 하고 다른 꽃과도 곤충을 매개로 수분을 하기도 하지만 토종 민들레는 같은 종끼리만 수분을 하여 씨앗을 맺는데 일편단심 민들레라는 말은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그 말이 퍼진 시절에 그런 생태적 특성을 알고 있었을지는 의문이지만.
간혹 꽃대를 줄기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꽃대는 꽃대일 뿐이다. 줄기가 거의 없이 바닥에 잎사귀만 나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줄기는 지지대처럼 땅에 강하게 박혀 있어 눈에 잘 띄지 않을 뿐이다. 앉은뱅이처럼 보여도 보이지 않는 땅밑으로 키가 상당히 큰 놈이다. 가끔 꽃대에도 잎사귀가 돋은 경우도 있다.
어렸을 때 민들레 홀씨를 후~ 불어본 경험은 다 있을 것이다. 바람을 타고 날아다니는 새하얀 꽃씨가 어떤 감수성을 자극하는지라, 문학 등 예술적 분야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식물이다. 머털도사는 이 민들레 씨앗을 거대화하여 타고 다닌다.